커뮤니티

커뮤니티 해운 물류 뉴스

해운 물류 뉴스

수출 6개월째 내리막…중국발 부진 심화(종합)

작성일 2023.04.03 조회수 167

한국 수출이 6개월째 내리막을 걸었다. 3월 들어 최대 수출 상대국인 대(對)중국 부진이 더 두드러졌다. 최대 수출상품인 반도체도 부진했다. 그러나 원유·가스 등 국제 주요 에너지가격이 내리며 무역수지 적자 폭은 완화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관세청은 지난 3월 수출액이 551억2000만달러(약 72조원·통관기준 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6%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전년대비 조업일수가 하루 많았던 것을 고려하면 실질적 감소율은 17.2%다.
 
대중국 수출 10개월째 마이너스

6개월 연속 감소다. 한국은 지난해 6월 이후 수출액 전년대비 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떨어지더니 같은 해 10월부터 전년대비 감소세로 전환하며 ‘수출 마이너스’를 이어오고 있다.

3월 들어 대중국 수출 부진이 더 두드러졌다. 104억2000만달러로 33.4% 줄었다. 한국 대중국 수출액은 10개월 연속 감소 중이다. 특히 전년대비 감소율이 이달 들어 30%대까지 내렸다. 중국 자체가 수출 부진과 내수 소비 침체로 작년 말 코로나 봉쇄 여파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면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도 덩달아 부진한 모습이다. 중국 경제 영향권에 있는 대아세안 수출액(96억2000만달러)과 대일본 수출액(24억4000만달러)도 각각 21.0%, 12.0% 줄었다.



출처 : 이데일리


2대 수출국인 대미국 수출액(97억9000만달러)는 1.6% 증가했다. 또 그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대중동(18억4000만달러), 대독립국가연합(CIS·12억6000만달러) 수출액은 각각 21.6%, 86.9% 늘며 전체 부진을 일부 만회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를 비롯한 거의 모든 품목의 수출이 줄었다. 반도체(86억달러)는 34.5% 감소했다. 한국 주력 제품인 메모리반도체는 수요 감소 여파로 국제시세(D램 고정가)가 올 1~3월 기준 1.81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3.41의 53% 수준에 그치는 상황이다.

다만, 전월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대비 절반 수준(-42.5%)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율 자체는 줄었다. 액수 역시 60억달러 수준에 그쳤던 1~2월과 비교하면 상당 폭 늘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달 올 3분기부터 세계 D램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이라며 하반기부터 가격 상승을 전망했다.

석유제품(46억달러)이나 석유화학(40억9000만달러), 일반기계(48억달러), 철강제품(31억4000만달러), 차부품(20억6000만달러), 디스플레이(12억2000만달러), 선박(11억4000만달러), 무선통신기기(10억6000만달러), 바이오헬스(11억7000만달러) 등 거의 모든 주요 수출품목 수출이 감소했다. 특히 디스플레이(-41.6%)와 무선통신기기(-42.3%)의 감소 폭이 컸다.

다만, 자동차 수출액(65억2000만달러)은 전년대비 64.2% 증가하며 월간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냈다. 자동차는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지역에서 수출 호조를 보였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에너지값 안정에 무역적자는 완화

같은 기간 수입액은 597억5000만달러로 6.4% 줄었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46억2000만달러 적자였다. 13개월째 무역적자를 이어갔지만 적자 폭은 2개월 연속 줄었다.

국제 에너지값의 안정화 여파다. 3월 원유 수입액은 79억5000만달러로 6.1% 내렸다. 천연가스 수입액(42억7000만달러)로 25.0% 내렸다. 석탄 수입액(22억6000만달러)은 6.2% 늘었으나 3대 에너지원 수입액 총합은 145억달러로 11.1% 줄었다. 재작년 말 시작된 국제 에너지 위기가 한풀 꺾이고 있는 것이다. 단, 2013~2023년 3월 3대 에너지원 수입액 평균이 96억달러였다는 걸 고려하면 여전히 평년대비로는 1.5배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장기화하고 있는 수출 마이너스와 무역적자 상황을 끊어내기 위해 수출 지원정책과 함께 에너지 효율개선과 절약문화 정착에 힘 쏟는다는 계획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정부의 모든 지원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에너지 효율개선과 절약문화 정착을 통한 무역적자 개선 노력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여기에 더해 전기·가스요금 인상 필요성도 강조했다. 정부는 2분기 전기·가스요금 상향 조정을 추진했으나 전날 당정협의 후 결정을 잠정 연기했다. 그는 “무역적자 개선을 위해선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수입관리와 이를 위한 에너지 고효율 구조 전환이 절실하다”며 “에너지 요금 현실화가 지연될 경우 구조 전환이 늦어지고 에너지 수입 증가에 따른 무역수지 부담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