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커뮤니티 해운 물류 뉴스

해운 물류 뉴스

'트럼프 관세' 결국 소비자가 떠안는다…기업들 '어쩌나'

작성일 2025.10.20 조회수 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로 인해 올해 전 세계 기업들이 추가로 부담해야 할 비용이 약 1조2,000억달러(한화 약 1,70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 경제매체 CNBC는 16일(현지시간) S&P 글로벌 보고서를 인용해 "9,000개 기업에서 활동하는 약 1만5,000명의 애널리스트 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전망했다.

작성자 대니얼 샌드버그는 "이 1조달러대 압박의 요인은 광범위하다"고 짚었다. 그는 "관세와 무역 장벽이 공급망에 세금처럼 작용해 정부로 기업 자금이 흘러가고, 물류 지연과 운송비 상승까지 겹치며 부담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S&P 글로벌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월 중국과 홍콩에서 반입되는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폐지한 것을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이후 8월 말 미국 정부는 면세 혜택을 모든 국가 대상 소포로까지 확대 폐지했다.

샌드버그는 "면제 조치가 종료되자 해운 데이터와 기업 실적 보고서에서 즉각적인 충격파가 감지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을 선포하며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다. 기본관세 10%는 4월 5일 발효됐고, 국가별 상호관세는 유예기간을 거쳐 8월 7일부터 시행됐다. 이후 자동차, 철강, 목재 등 주요 품목에도 관세가 적용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수출기업들이 당분간 부담하겠지만 결국 외국 수출업체가 비용을 떠안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S&P 글로벌 분석에 따르면, 관세 부담의 약 3분의 1만 기업들이 지게 되고 나머지는 소비자들이 흡수할 것으로 전망됐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관세 도입으로 미국인들이 일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결국 부담은 외국 수출업체들이 떠안게 될 것"이라며 기존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출처 :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