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이후 흑자 기조를 이어 온 대(對)중국 경상수지가 지난해 80억달러 가까이 적자를 기록하며 21년 만에 흑자 행진이 깨졌다. 반면 미국과의 거래에선 승용차 등의 수출 증가로 역대 최대 규모의 흑자를 봤다. 지난해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중동에 대한 경상수지 적자 폭이 두 배 가까이 늘면서, 우리나라의 총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2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중 경상수지는 2021년 234억1000만달러 흑자에서 지난해 77억8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중국과의 경제적 거래에서 적자를 본 것은 2001년(-7억6000만달러) 이후 21년 만에 처음이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서비스의 수출입 및 자본·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품수지·서비스수지·본원소득수지·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
대중 상품수지는 2021년 155억8000만달러 흑자에서 지난해 100억6000만달러 적자로 전환됐다. 상품 수출이 같은 기간 1365억6000만달러에서 1232억2000만달러로 감소한 반면, 수입은 1209억8000만달러에서 1332억8000만달러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중 서비스수지 역시 28억8000만달러 흑자에서 5억9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한은은 “대중 상품수지는 기계·정밀기기, 석유제품 등의 수출 감소와 원자재 등 수입 증가로 적자 전환했다”며 “서비스 및 본원소득수지는 각각 운송지급 증가 및 배당수입 감소로 악화했다”고 진단했다.
중국과의 거래에서 적자를 보는 동안 미국을 상대로는 대규모 흑자를 냈다. 대미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021년 455억4000만달러에서 지난해 677억9000만달러로 48.9% 늘었다.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대미 흑자 규모다.
대미 상품수지 흑자(563억8000만달러)도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으며, 서비스수지 적자(-20억2000만달러)는 전년(-40억9000만달러)보다 20억달러 이상 줄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 규모(137억9000만달러) 역시 역대 1위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일본 경상수지는 177억8000만달러 적자였지만, 1년 전(-222억달러)과 비교하면 적자 규모가 44억달러 이상 줄었다. 유럽연합(EU)에 대한 경상수지는 2021년 6억3000만달러 적자에서 지난해 70억4000만달러 흑자로 전환됐다.
대중동 경상수지는 880억5000만달러 적자로 전년(-479억8000만달러)에 비해 적자 규모가 400억달러가량 확대됐다. 김화용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2013년 908억4000만달러 적자 이후 가장 큰 (대중동) 적자 폭”이라며 “우리가 중동에서 원유 등 원자재를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원유 가격 상승의 영향이 (대중동 적자 규모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데, 지난해 원유 가격이 크게 올라 적자 폭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총 경상수지는 298억3000만달러 흑자로, 2021년(852억3000만달러)과 비교해 흑자 폭이 65% 급감했다.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2021년 660억달러에서 지난해 664억1000만달러로 소폭 늘었으며, 외국인의 국내직접투자는 같은 기간 220억6000만달러에서 180억달러로 축소됐다. 지난해 내국인의 해외증권투자 규모는 456억4000만달러로 2021년(784억5000만달러)보다 감소했다.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는 2021년 590억9000만달러에서 지난해 202억5000만달러로 줄었다.
출처 : 세계일보